본문 바로가기
스마트농업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천연 효모를 이용한 CO₂ 공급 기술

by 나쓰45 2025. 3. 29.

1. 수경재배 환경에서 CO공급의 중요성

"수경재배"는 토양 없이 물과 영양분만으로 작물을 키우는 현대 농업 기술로, 도시농업 및 스마트팜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경재배 환경에서는 자연적인 이산화탄소(CO) 공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광합성 효율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CO공급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의 CO공급 방식은 산업용 가스를 이용하거나 기계적 환기 시스템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는 초기 비용이 높고 유지 관리가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천연 효모를 활용한 CO공급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효모는 발효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CO를 생성하는데, 이를 수경재배 시스템에 적용하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CO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화학적 방법보다 안전하며, 추가적인 부산물(: 유기산, 단백질 등)이 작물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본 글에서는 효모를 이용한 CO공급 기술의 원리, 적용 방법, 장점 및 한계점을 분석하여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겠다.

 

2. 천연 효모의 CO생성 원리 및 수경재배 시스템 적용 방법

1) 천연 효모를 이용한 CO생성 원리

천연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는 당을 발효하면서 이산화탄소(CO)와 에탄올을 생성하는 미생물이다. 이 과정은 주로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CH₁₂O(포도당) 2CHOH (에탄올) + 2CO(이산화탄소) + 에너지(ATP)

, 효모는 당류(: 설탕, 포도당)를 먹이로 삼아 CO를 방출하는데, 이 특성을 활용하면 자연스럽게 식물에게 필요한 CO를 공급할 수 있다.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천연 효모를 이용한 CO₂ 공급 기술

2)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효모 CO공급 적용 방법

천연 효모를 이용한 CO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며,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발효 용기 준비

공기가 차단되지 않는 발효 병(플라스틱 통, 유리병 등)

발효 용액(설탕 + + 효모)

공기 배출구(튜브 또는 작은 구멍)

효모 발효 용액 만들기

따뜻한 물(30~35)에 설탕을 녹인다.

활성 건조 효모(베이커리용 또는 양조용)를 소량 첨가한다.

발효 병에 혼합액을 넣고, 공기 배출구를 설치한다.

배출구에 연결된 튜브를 수경재배 시스템 내 작물 주변에 배치한다.

CO공급 시스템 가동

효모가 당을 분해하면서 CO를 생성하기 시작하며, 배출구를 통해 작물 쪽으로 공급된다.

발효 과정은 약 3~7일 동안 지속되며, 이후 새로운 발효 용액을 추가하여 연속적인 CO공급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저비용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가정용 소규모 수경재배부터 대형 농업 시스템까지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효모 기반 CO공급의 장점 및 효과 분석

효모를 이용한 CO공급은 기존의 화학적 또는 기계적 CO공급 방식과 비교했을 때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1)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CO공급 방식

기존의 CO가스통이나 연소 방식은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효모 발효 방식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생물학적 과정이므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지속 가능성이 높다.

2) 비용 절감 효과

CO가스를 인위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은 초기 설치 비용과 유지 비용이 높지만, 효모를 이용한 방식은 설탕과 효모만 있으면 지속적으로 운영 가능하다.

특히, 가정에서 수경재배를 운영하는 경우, 별도의 전기 장치 없이도 손쉽게 CO를 추가 공급할 수 있다.

3) 작물 생장 속도 향상

CO농도가 높아지면 식물의 광합성 속도가 증가하여, 잎과 줄기의 생장이 촉진된다.

연구에 따르면, 실내 농장에서 CO농도를 1,000ppm 이상으로 유지하면 작물 수확량이 최대 20~30% 증가할 수 있다.

4) 추가적인 영양 공급 가능성

효모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기산, 아미노산 등의 부산물은 작물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효모 발효액을 뿌리 근처에 공급하면 미생물 활동이 증가하여 작물의 뿌리 건강이 개선된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장점들을 고려하면, 천연 효모를 이용한 CO공급 기술은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4. 효모 기반 CO공급 기술의 한계점 및 해결 방안

천연 효모를 이용한 CO공급 기술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실용적인 측면에서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도 존재한다.

1) CO농도 조절의 어려움

효모 발효는 자연적인 과정이므로, CO발생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렵다.

해결 방안: CO센서를 활용하여 실시간 농도를 측정하고, 필요한 경우 여러 개의 발효 병을 순차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2) 발효 용액 교체 주기

발효가 끝나면 CO발생이 멈추므로, 주기적으로 새로운 발효액을 만들어야 한다.

해결 방안: 자동화된 발효 시스템(정기적으로 당과 효모를 보충하는 장치)을 활용하면 지속적인 CO공급이 가능하다.

3) 공간 및 냄새 문제

일부 경우, 효모 발효 과정에서 약한 발효 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

해결 방안: 밀폐형 발효 용기를 사용하고, CO배출구를 작물 쪽으로만 연결하여 냄새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보완한다면, 천연 효모 기반 CO공급 기술은 장기적으로 효율적인 수경재배 시스템 운영을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5. 천연 효모 기반 CO공급 기술의 미래 가능성

천연 효모를 이용한 CO공급 기술은 저비용, 친환경적, 지속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기존 CO공급 방식보다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경우 작물의 생장 속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앞으로는 자동화된 효모 발효 시스템, 스마트 CO센서, 유기농 효모 활용 기술이 발전하면서, 보다 정밀한 CO공급이 가능해질 것이다.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혁신적인 방법으로, 천연 효모를 활용한 CO공급 기술이 널리 보급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