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본문 바로가기
스마트농업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작물별 스마트팜 전략

by 나쓰45 2025. 8. 9.
반응형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작물별 스마트팜 전략

2025년 현재, 지구촌은 극심한 기후 변화 속에 놓여 있다.

급격한 기온 상승, 국지성 폭우, 가뭄, 이상한파와 같은 기후 이상 현상이 연중 반복되며, 노지 농업은 예측 불가능한 환경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작물 재배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실시간 데이터에 기반한 생육 최적화를 가능케 하는 스마트팜이 기후 위기의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팜이라고 해도 모든 작물에 같은 전략을 적용하면 오히려 에너지 낭비와 생산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기후 변화의 성격에 따라, 작물 특성별로 스마트팜 시스템을 어떻게 맞춤 대응시키느냐이다.

이번 글에서는 기후 변화에 따른 주요 위협 요소를 분석하고, 대표 작물 4(잎채소, 과채류, 뿌리채소, 허브류)를 기준으로 최적의 스마트팜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이제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기후 변화에 적응하고 살아남기 위한 농업의 생존 전략으로써 스마트팜을 바라보아야 할 시점이다.

 

기후 변화가 작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팜의 역할

기후 변화는 단지 날씨가 더워졌다는 수준이 아니다. 농업 현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직격탄으로 나타난다:

기온 상승: 고온 스트레스로 인해 작물의 잎이 말라죽고, 과일 품질 저하

강우 패턴 변화: 가뭄과 폭우가 반복되어 배수·급수 균형 붕괴

해충 증가: 따뜻해진 겨울로 인해 병해충 월동률 상승

광 조건 불안정: 미세먼지·구름 증가로 광합성 부족

이러한 환경 변화는 작물의 생육 단계마다 다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일 방식의 대응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스마트팜은 온도, 습도, 조도, CO, 양액 농도 등을 센서로 실시간 감지하고, 제어 시스템을 통해 작물에 필요한 환경을 자동으로 조성한다.

예를 들어, 여름철 온도가 35이상으로 올라가면 제어기가 즉시 환풍기를 작동시키고, 작물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을 정밀하게 공급한다.

기후 변화가 가속화될수록, 정확한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 환경 제어 시스템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잎채소류 스마트팜 전략 온습도와 광 제어가 핵심

상추, 청경채, 적겨자, 루꼴라와 같은 잎채소류는 생육 속도가 빠르지만 온도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한 작물군이다.

특히 28이상이 지속되면 잎이 얇아지고 변색되며, 고온에서는 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잎채소를 위한 스마트팜 전략은 다음과 같다:

온도 제어: 실내 온도 18~24유지. 여름철에는 환풍기 + 차광막 + 미스트 장비 연동

습도 관리: 50~70% 유지. 급수량은 센서 기반 자동화로 조절

조도 조절: LED 광량 15002000 lux / 1214시간 광주기 유지

양액 농도: EC 1.21.8 범위 유지 / pH5.56.5로 설정

스마트팜 제어기는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합성 적정 조건을 자동 유지하며,

앱이나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원격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특히 베란다나 실내형 수직농장에서는 광량 부족을 LED로 보완하고, 환기 팬으로 온도 상승을 막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잎채소는 소규모 스마트팜 입문자에게도 적합한 작물로, 기후 변화 초기 대응 모델로서 높은 경제성과 안정성을 가진다.

 

과채류 스마트팜 전략 온도와 이산화탄소 관리 강화

토마토, 파프리카, 오이, 딸기 등 과채류는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과정에서 정밀한 환경 제어가 요구되는 작물이다.

기온 변화에 따라 착과율이 낮아지거나, 과일 모양이 비정상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여름철 고온은 과실의 당도 저하, 색 변화, 착색 불균형을 유발한다.

이 작물군을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다:

온도 유지: 생육기 2228, 착과기 1824유지 / 야간과 주간 온도차 5~7조절

이산화탄소(CO) 보충: 400ppm 이하로 떨어지면 CO발생기 자동 가동

LED 조도: 20003000 lux / 광 주기 1416시간

습도 조절: 55~65% 유지 / 과습 시 병해 위험 커짐

스마트팜에서는 CO센서와 연동된 자동 보충 시스템을 설치하거나, 환기 시스템을 통해 내부 농도를 조절한다.

또한 생육 단계에 따라 광량과 온습도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 제어기가 필요하다.

과채류는 가격 변동이 크기 때문에, 기후 변화로 공급이 불안정한 시기에 스마트팜 운영자는 높은 단가에 판매가 가능한 이점도 가진다.

 

뿌리채소와 허브류 수분과 토양 데이터 기반 제어가 핵심

당근, , 비트와 같은 뿌리채소는 수분 스트레스와 배수 문제에 민감하며,

바질, 민트, 고수, 타임 등의 허브류는 광 조건과 온도 변화에 따라 향미와 생장 속도가 크게 달라지는 작물군이다.

스마트팜에서 이들을 재배할 경우, 다음의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토양 수분 센서 설치: 일정 수분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 급수 / 과습 방지를 위한 배수 알림 기능

광 주기: 허브류는 12~14시간 유지, 뿌리채소는 생육 초기에 강광 제공

온도 조절: 뿌리채소는 서늘한 환경(1520), 허브류는 따뜻한 환경(2026)에서 최적화

양액 농도: 허브류는 EC 1.01.4 / 뿌리채소는 EC 1.21.6 범위에서 안정적 생육

이 작물들은 특히 도시형 스마트팜, 베란다팜, 옥상 텃밭형 농장에서 인기가 높으며,

스마트팜 시스템을 적용하면 작물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수확 시기를 예측하는 AI 기반 분석 기능도 활용할 수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해 노지에서의 생육이 불확실해진 지금, 수분 제어에 민감한 작물일수록 스마트 제어 기술의 도입 효과가 크다.

 

작물에 맞춘 맞춤형 전략이 기후 위기 시대의 해답

기후 변화는 이제 농업의 전반적인 방식 자체를 바꾸고 있다.

예전처럼 경험과 날씨에 의존한 농사는 수익성도, 지속 가능성도 보장할 수 없다.

이제는 각 작물의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 변화하는 기후에 맞춰 스마트팜 기술을 맞춤 적용하는 시대다.

온도 하나만 맞춘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CO농도, 광량, 습도, 급수량, 양액의 pHEC까지 작물별로 달리 관리해야 한다.

이 글에서 소개한 전략처럼, 작물군별로 환경 제어 전략을 설계하고 자동화 장비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면, 기후 변화 속에서도 고품질 작물 생산이 가능하다.

스마트팜은 기후에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기후를 제어하고 작물 중심으로 환경을 설계하는 기술이다.

그 기술을 어떻게 작물에 맞춰 활용하느냐가, 당신의 농업 성공을 좌우할 것이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